신기한 속내과 연합의원
전문클리닉
진료안내
평일
am 09:00 ~ pm 06:30
점심시간
pm 01:00 ~ pm 02:00
토요일
am 09:00 ~ pm 01:00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무
예약 및 문의
053.963.8275
위대장내시경클리닉
5인의 전문의료진이 최고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역류성 식도질환, 식도염, 식도암, 위염, 위궤양, 위용종, 위암, 십이지장궤양 등의 질환 진단과 치료
대장용종, 대장암, 대장 게실, 감염성 장염, 궤양성 대장염, 크론씨 병의 진단과 치료
식도, 위장 및 대장 내 이물(생성가시, 못, 동전 등) 제거
개복수술 없이 내시경만으로 위, 대장의 용종 절제 수술
피를 토하거나 하혈을 하는 위장 출혈의 내시경적 치료
위장 질환
위식도 역류질환(역류성 식도염)
위식도 역류 질환은 식도와 위를 연결해 주는 부위에 있는 하부 식도의 괄약근이 느슨해지면서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되어 식도, 인두, 후두, 기관지 등의 조직을 손상시키는 병을 위식도 역류질환이라고 부르며 이로 인해 식도에 염증이 발생한 상황을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합니다.
소화성(위, 십이지장) 궤양
궤양이란 위벽의 점막근층을 지나서 점막하층으로부터 근층에까지 손상이 있는 위장병을 말합니다. 위벽의 점막층에만 이르는 손상은 미란이라고 한다. 위궤양과 십이지장궤양은 그 손상부위에 따라 구별하며 둘을 함께 묶어 소화성궤양이라고 합니다. 위궤양 환자의 75~85%, 십이지장궤양 환자의 90~95%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감염되어 있고,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있으면 궤양이 생기고, 치료후에도 자주 재발합니다. 십이지장 궤양은 4~6주, 위궤양은 8주간의 치료가 필요하며, 헬리코박터 균이 있는 경우 균을 제거하여야 합니다.
대장 질환
대장용종
대장의 내강쪽으로 점막의 표면에서 돌출된 융기물을 말하는 것으로 그 모양이 피부에 생긴 사마귀나 조그만 혹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대장용종에는 대장 점막에 있는 정상 세포가 지나치게 자라나 생기는 과형성용종과 암은 아니지만 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선종(양성종양), 암이 있습니다. 선종은 발견되면 제거 하여야 합니다. 크기가 1cm 미만이라도 약 1% 가량에서 암으로 발전가능하며 2cm 이상이면 암으로 번질 가능성이 35%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40세가 넘으면 정기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장암
대장암은 대장 내에 궤양이나 혹덩어리 형태에서 암세포가 발견되는 질병입니다. 식생활이 서구화 되면서 대장암 환자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대장암은 지난 23년간 11배나 증가하였습니다. 대장암을 의심해 볼수 있는 증상 평소 배변습과과 달리 변비나 설사가 상당 기간 계속될때, 배가 자주 아플때, 대변의 굵기가 가늘어질때, 대변에서 피가 묻거나 섞여 나올때, 대변을 본 뒤에도 잔변감이 있을때, 암의 일반적인 증상인 체증감소, 식욕감퇴, 원인을 알 수 없는 피로감, 빈혈이 있을 때 등입니다. 일반적으로 대장암도 병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가 암 덩어리가 커진 뒤에야 증상이 나타내는 경우가 흔해 증상이 없더라도 50세 이후부터는 5년에 한번씩은 검사를 받아야하며 부모, 형제중 55세 이전에 대장암 환자가 있거나 부모, 형제중 대장암 환자가 2명 이상인 경우는 40세부터 5년 주기로 대장내시경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염증성 장질환이나 유전성암 질환등 고위험군은 더 자주 검사를 해보아야 합니다.
만성 염증성 장질환
궤양성대장염
대부분의 궤양성대장염 환자는 15세에서 40세입니다. 궤양성대장염은 대장이나 직장에 안쪽 벽만을 침범합니다. 직장만을 침범하였을 경우 궤양성직장염이라 합니다. 직장과 대장의 염증은 대장으로부터 혈류로의 수분흡수를 방해하므로 설사를 초래합니다.
크론씨병
크론씨병은 대장의 심부층에 궤양과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가장 많이 침범하는 부위는 소장의 말단인 회장과 상부 대장입니다. 크론씨병은 상부위장관의 어느 부분이나 침범할 수 있습니다. 아프타 궤양이 빈번하며, 궤양은 식도, 위, 상부소장(십이지장)에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궤양이 소화성궤양과 다른다는 것은 조직생검을 하여야 합니다. 크론씨병은 만성질환으로 완해기(환자가 편안하다고 느끼는 시기)와 활동기(환자가 불편하게 느끼는 시기)가 있습니다.